상단영역

본문영역

처음 느낌 그대로

이진성
  • 입력 2024.02.10 01:56
  • 수정 2024.02.10 01:5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4. 02. 10. 00.57.

처음 느낌 그대로. 남다른 길을 가는 내게... 인물은 아무 말하지 않았지. 대본 속에 존재하는 등장인물에게 계속적인 질문세례를 퍼붓고 있으면 느껴지는 감정이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람은 생명이 없고 귀가 없고 입도 없어서 내 물음에 어떠한 답을 주지 않을 것임을 앎에도 불구하고 물음표를 던진다. 그것은 사실 스스로에 대한 방향임을 머지않아 깨닫게 되며 의인화한 등장인물에게서 찾아내야 할 단서임을 인식한다. 그러다가 오르는 혈압을 누르기 위해 뒷목을 검지와 중지와 엄지로 강하게 압박하다, 커피를 한 모금 쪽 빨아 당기며 하늘이나 무심하게 쳐다본다.

어제 내 수업을 듣는 동생이 했던 말을 떠올리며 창공에 문장을 띄워본다. '매번 작품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어제 당시는 마치 남 이야기하듯 쉽게 답변을 내려주었지만 오늘 내게 처한 현실에서는 나도 같은 물음을 하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군요. 등장인물씨....'

사실, 방법을 몰라서 오는 막막함이 아님을 안다. 이 감정적인 답답함은 할 일이 많아서, 갈길이 멀어서 느껴지는 것이니까. 왜 그 말을 했는지, 왜 그 단어를 썼는지 질문을 던진다는 표현을 하지만 찾는다는 말이 더 옳다. 근데, 이게 매번 새로 해야 하는 일이니까 갈 길이 먼 것이다. 마치 연애와도 같다고 다른 학생의 똑같은 질문에 답한 오늘처럼. 매번 같은 여자사람을 만나지만, 내가 만났던 그전 연인과 같은 질문과 답으로 알아가고자 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매 작품이 처음인 것처럼, 처음처럼, 질문을 해야 하는 피로감이 있다.

그렇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이 태도는, 아니, 어쩔 수 없이 그렇게 처음처럼 대해주어야 하는 이 태도는, 분명 양질의 문답이 된다. 연애를 많이 해봤다고 여자에 대해 다 안다는 태도는 좋지 못한 결말을 맞는다. 연기란, 보편타당성에 기인하는 심리학이라기보다는, 단 한 사람을 알아가는 일이다. 세상 여자가 다 보통의 삶을 산다고 해서 같은 취향이 아니듯이, 어떤 음식과 분위기를 좋아하는지 매번 처음처럼 여쭙듯이, 인물도 똑같은 방식으로 대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 답을 준다. 그래, 잘 모를 땐, 연기를 연애하고 생각하자. 처음처럼, 혹시 그거 알아 그댄 농협은행.

 

저작권자 © 미디어피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