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금의 섬서성 황하가 북남에서 서동으로 굽이 도는 곳이 ‘조선’과 漢(한)나라의 국경 浿水(패수). 1550년 경 대명여지도大明輿地圖를 보자. 차이나 대륙에서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지워라. 거대한 음모 (17) 부일사학 국사편찬위원회 (87)

이원환 전문 기자
  • 입력 2023.08.15 12: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황하 만곡부에서 ‘조선’과 ‘漢(한)나라’의 국경 분쟁

1) 요약

 

(위)만이 기원전 200년 경 燕(연)나라에서 동쪽으로 와 ‘조선’에 망명하여 ‘조선’의 왕이 되고

 

기원전 110년 경 손자 우거(왕)에 이르렀을 때,

 

‘조선’으로 ‘망명하는 漢(한)나라 백성’이 많아져서 위협을 느낀

 

漢(한)나라가 ‘조선’에

 

‘망명하는 漢(한)나라 백성’을 받지 말고

 

‘진번 이웃나라’들이 漢(한)나라로 들어오는 통로를 막지 말 것을 요구했다.

 

2) ‘사기 조선열전’ , ‘한서 조선전’ 원문과 대조한 번역

 

(위)만의 손자 우거(왕)에 이르러 傳子 至孫 右渠

 

[조선’과 漢(한)나라의 국경지역인 진번眞番 지역으로 漢(한)나라에서 망명하는 백성漢亡人 들이 들어오기 위해]

 

자滋 유역에 몰려 들었다多. [漢亡人 滋 多]

 

진번眞番 지역에 가까운 나라 [방중국 旁衆 國, 진국辰 國] 들이

 

漢(한)나라 왕 (천자天子)이 있는 곳인 옹雍(擁) 지역으로 가서 직접 상소문 올리거나上書

 

만나고자見 해도 欲 上書 見 天子

 

[자滋 유역에 몰려든 망명 백성들 때문에]

 

옹雍 지역으로 가는 길이 막혀서 교통할 수가 없었다. 又 雍 閼 弗通.

 

眞番·辰國 (旁衆國) 欲 上書 見 天子, 又 雍(擁) 閼 弗(不)通.

[ ( ) 속 글자旁衆國, 擁, 不 은 ‘사기 조선열전’의 글자 들임.]

이에 기원전 109년, 원봉 2년에 한漢나라는 사신 ‘섭하’를 보내어 ‘조선’의 ‘우거’(왕)을 회유했으나, ‘조선’이 거절하였다.

元封 二年, 漢 使 涉何 譙諭 右渠, 終 不肯 奉詔.

 

그 전의 시기인 ‘(위)만’ 때에

 

요동태수가 [‘(진번·조선)만이’ 우두머리[군장]들이 한나라 왕 천자를 만나려고 할 때 못 만나도록 막지 말라(諸)蠻夷 君長 欲入見 天子, 勿 得禁止.] 고 요구했으며

 

(위)만이 [漢(한)나라 의] 외신(外臣. 외부의 신하)가 되어 [길을 막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가 있었다. 遼東太守 卽 約 滿 爲 外臣 (諸)蠻夷 君長 欲入見 天子, 勿 得禁止.

 

3. 자滋 유역

1) 지금의 섬서성 서안시 부근에 있는 지금 이름 패하 灞河가 ‘사기 조선열전’, ‘한서 조선전’에 나오는 자수滋水이다.

 

현재 서안시의 패하 灞河= 한서지리지의 패수霸水 = 한서지리지의 兹水 = [한서 조선열전], [사기 조선열전]의 滋(水)이다.

 

2) 자수滋水를 지금의 하북성 석가장 시 (북경시 남쪽) 북쪽 행당현과 영수현을 지나 호타하에 들어가는 하천인 자하磁河 로 보는 설명이 있다. 필자는 이를 지명 이동된 것으로 본다. 이유는 자滋 와 붙어서 기록되고 있는 옹雍 지역이 지금의 서안시 인근이기 때문이다. (부록1 참조)

 

4. 옹雍 지역

1) ‘옹雍’으로 가는 길목인 ‘자滋’에 한나라 도망자들이 많은데, 그 도망자들이 진번·진국(진번 이웃나라)이 漢(한)나라 天子(천자)가 있는 ‘옹雍’으로 가는 것을 막고 있다. 漢(한)나라에서 도망 나온 사람들의 입장에서 진번·진국 사람들이 漢(한)나라 정부에 들어가서 상황을 보고하는 것을 좋아할 리가 없다.

 

특히 고대에는 사람 한 사람이 내는 세금도 중요하지만, 군대나 성을 쌓거나 황하 제방을 쌓는 일 등에 아주 필요한 노동력이기 때문에 漢(한)나라 관리들이 언제 漢(한)나라 도망자들을 찾아와서 붙잡아갈지 모른다는 불안에 떨고 있었을 것이다.

 

2) 문장 해석상 ‘옹雍’ 지역은 漢(한)나라 왕의 대궐이 있는 곳이 분명하다. 이후 ‘한서지리지’가 편찬될 즈음에 ‘옹雍’ 지역 일부는 [장안 현]으로 바뀌고 일부는 옹雍현으로 분류된 것으로 추정한다. 지금의 섬서성 서안시 일대로 비정된다. (부록 2 참조)

 

옹雍’ 지역을 지금의 황하 북쪽인 산서성 운성시에 비정하는 다른 견해도 있다.

 

3) 한서지리지는 83개 郡(군) 과 20개 國(국) 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수도 서울 ‘장안 현’이 있는 첫 번째 군인 ‘경조윤京兆尹’ 아홉 번째 남릉南陵현 설명에 ‘자滋’ 강이 나온다. 세 번째 郡(군)인 ‘우부풍右扶風’ 에 옹雍 현이 나온다. (부록 참조)

 

5. 대명여지도

1) 현재 전해지는 차이나 지도 중 비교적 검증된 지도 중의 하나가 대명여지도이다.

 

[ 대명여지도 大明輿地圖 輿 : 수레, 땅. 繪製者 :佚名. 製圖年代: 明嘉靖二十四年至三十八年(1547–1559. 原圖尺寸 每頁圖幅 75 x 84 cm. 板式類型:彩繪. 材質:絹本. 色彩:彩色. 數量:1 冊(18 幅. 類型:全國政區地圖.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https://digitalatlas.asdc.sinica.edu.tw/map_detail.jsp?id=A103000001 ]

 

2) 1550년 경에 만든 대명여지도 大明輿地圖 에는

 

황하가 북남에서 서동으로 굽이 도는 곳, 지금의 산서성 운성시 부근,

 

황하 동북 쪽 유역에 朝鮮(조선) 의 ‘鮮(선)’ 이 있고, 황하 서남 쪽 유역에 華夏(화하) 의 ‘華(화)’ 가 있다.

 

[사기 조선열전], [한서 조선전]에 浿水(패수)가 ‘조선’과 ‘漢(한)나라’의 국경이라고 했으니 황하가 浿水(패수)이다.

 

3) 1550년 경에 만든 대명여지도 大明輿地圖 에는 秦(진) 나라가 秦(진)나라 (만리)장성이 시작하는 臨洮(임조) 바로 동쪽에 있다. 큰 성곽을 쌓는 것은 방어해야 할 수도 서울이나 큰 도시가 가까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秦(진)나라 서울이 臨洮(임조) 바로 동쪽에 있었음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4) 황하가 북남에서 서동으로 굽이 도는 곳에 큰 성곽 (장성)이 있음도 이제 충분히 설명이 된다. 그 성곽이 [사기 조선열전], [한서 조선전] 에 나오는 [요동고새遼東故塞] 인 것이다.

부록1 滋水 에 대한 차이나 ‘바이두’ 설명

 

자현磁县 은 (삼수변 滋 가 아니라 돌석 변 磁 이다) 지금의 황하 북쪽에 있는 하남성 안양시 (‘은허: 은나라 유적지’가 발굴된 도시다) 서북에 붙어 있다. 행정구역으로는 하북성 한단시 소속이다.

 

자하磁河 는 자현磁县 보다 훨씬 북쪽인 석가장 시 북쪽 행당현과 영수현을 지나 호타하에 들어가는 하천이다.

 

滋水 에 대한 차이나 ‘바이두’ 설명이다.

https://baike.baidu.com/item/%E6%BB%8B%E6%B0%B4/2026381?fr=ge_ala

 

滋水

据《中国历史地图集·战国·赵·中山》图 标示,滋水 为 今磁河 前身,属今 行唐县与 灵寿县的 一条边界 河。

(중국 역사지도집 전국 조 중산)에 표시된 대로 하면 자수는 지금 자하(磁河=자현磁县을 흐르는 강)의 전신이다. 지금은 행당현과 영수현의 경계가 되는 한줄기 강이다.

 

《说文解字》“滋”即滋水,“出牛饮山白陆谷,东入呼沱”。

설문해자 : “滋”는 滋水이다. “出 牛饮山 白陆谷,东入呼沱”。우음산 백륙곡에서 발원하여 동으로 호타(하)에 들어간다.

 

《汉书》 卷二十八 地理志 常山郡 篇,“南 行唐 牛饮山 白陉谷,滋水 所出”。

한서 권28 지리지 상산군 편 “ 남으로 행당 우음산 백경곡이 있고 자수가 발원한다.

 

《土生说字》“滋”字 造字 于 行唐,描摹的是 蚕丝飘落、溪流淙淙的 古行唐人 文景观 [1] 。

 

‘兹’ 의 원 글자는 ‘茲(자)’ 이다. 무성할 자, 이 (this) 자 이다.

부수 䒑 [艸,艹,艹,艹] (초두머리2, 3획) 모양자 䒑(초두머리 초) + (작을 유)

새싹이 잘 자라 무성해지는 것을 표현한 글자이다.

 

무성해지다(茂盛---).힘쓰다.붇다. 이, 이에. 즉. 여기. 더욱. 지금. 괭이(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돗자리.연(年). 수염 의 뜻이 있다.

 

부록2 경조윤, 우부풍 등 (위키백과 우부풍)

 

1. ‘군’이나 ‘국’ 모두 현재 코리아 기준 특별시· 광역시· 도 에 대응된다. ‘군’이나 ‘국’아래에 ‘현縣’이 있으며, ‘현縣’은 현재 코리아 기준 ‘시’나 ‘군’에 대응된다.

 

한서지리지 첫 번째 郡(군)인 ‘경조윤京兆尹’ 은 郡(군)을 쓰지 않고 尹(윤)을 쓴다. 경조윤 京兆尹 자체는 코리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를 합친 것에 대응되며, 특히 경조윤 京兆尹 의 첫 번째 현縣인 장안현 長安縣 은 서울특별시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한서지리지 두 번째, 세 번째 郡(군)인 ‘좌풍익左馮翊’, ‘우부풍右扶風’ 역시 郡(군)을 쓰지 않는다.

 

코리아 서울특별시에 해당하는 ‘장안’ 현이 속하는 ‘경조윤京兆尹’, ‘경조윤’의 좌우로 코리아 경기남도, 경기북도에 해당하는 ‘좌풍익左馮翊’, ‘우부풍右扶風’이 나오는데, 이 세 지역이 코리아 ‘수도권’에 비유된다. 그 중 우부풍 군에 옹雍 현이 있다.

 

2. 전한의 수도권을 관할하는 직책은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이 있으며 이는 모두 전한의 내사와 관련이 있다.

 

전한 고제가 옹나라를 정복하고서 농서군과 북지군과 중지군을 세웠는데 우부풍의 관할 영역은 이 중 중지군에 상당한다.

 

고제 9년(기원전 198년), 전한의 수도권 지역의 군을 폐지하고 진나라처럼 내사를 두면서 중지군도 폐지됐다.

 

무제 건원 6년(기원전 135년)에 내사의 관할 영역을 좌우로 나누면서 우내사에 옛 위남군과 중지군이 속하고 좌내사에 옛 하상군이 속했다.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우내사의 관할 영역을 나누고 주작도위의 이름을 우부풍으로 고쳐 옛 중지군 영역을 관할하게 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1만 6377호, 83만 6070명, 21현을 관할했다. 현대의 시안시 서부와 바오지시·셴양시 일대에 해당한다.

 

3. 한서지리지 요약 전재

 

1) 순서도 매우 중요하다. 수도권인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 다음으로

 

① 홍농군인데 노씨盧氏현, 섬陝 현,상商현이 있다.

② 하동군인데 기씨猗氏현,호(획)택濩澤현,단씨端氏현,임분臨汾현,

피씨皮氏현이 있다.

③ 태원군인데 (하동군의 북쪽이다) 자씨茲氏현이 있다.

④ 상당군인데 둔유屯留현, 열씨涅氏현,현씨泫氏현,로潞 현,기씨陭氏현이 있다.

⑤ 하내군인데 조가朝歌현,온溫현,호(획)가獲嘉현,심수沁水현이 있다.

 

2) 한서지리지 군 및 현 현황. 빨간글씨는 주요 현과 씨족의 고향으로 보여지는 氏(씨)가 붙은 현을 표시했다. 파란글씨 는 릉陵을 보여주고 있다. 릉陵이 단순한 언덕인지, 큰 무덤인지 조사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33

京兆尹,縣十二:長安,新豐,船司空,藍田,華陰,鄭,湖,下邽,南陵,奉明,霸陵,杜陵。

34

左馮翊,縣二十四:高陵,櫟陽,翟道,池陽,夏陽,衙,粟邑,谷口,蓮勺,頻陽,臨晉,重泉,郃陽,祋祤,武城,沈陽,褱德,徵,雲陵,萬年,長陵,陽陵,雲陽。

35

右扶風,縣二十一:渭城,槐里,鄠,盩厔,斄,郁夷,美陽,郿,雍,漆,栒邑,隃麋,陳倉,杜陽,汧,好畤,虢,安陵,茂陵,平陵,武功,

36

弘農郡,縣十一:弘農,盧氏,陝,宜陽,黽池,丹水,新安,商,析,陸渾,上雒。

37

河東郡,縣二十四:安邑,大陽,猗氏,解,蒲反,河北,左邑,汾陰,聞喜,濩澤,端氏,臨汾,垣,皮氏,長脩,平陽,襄陵,彘,楊,北屈,蒲子,絳,狐讘,騏。

38

太原郡,縣二十一:晉陽,葰人,界休,榆次,中都,于離,茲氏,狼孟,鄔,盂,平陶,汾陽,京陵,陽曲,大陵,原平,祁,上艾,慮虒,陽邑,廣武。

39

上黨郡,縣十四:長子,屯留,余吾,銅鞮,沾,涅氏,襄垣,壺關,泫氏,高都,潞,陭氏,陽阿,穀遠。

40

河內郡,縣十八:懷,汲,武德,波,山陽,河陽,州,共,平皋,朝歌,脩武,溫,野王,獲嘉,軹,沁水,隆慮,蕩陰。

 

41

河南郡,縣二十二:雒陽,滎陽,偃師,京,平陰,中牟,平,陽武,河南,緱氏,卷,原武,鞏,穀成,故市,密,新成,開封,成皋,苑陵。梁,新鄭。

42

東郡,縣二十二:濮陽,畔觀,聊城,頓丘,發干,范,茬平,東武陽,博平,黎,清,東阿,離狐,臨邑,利苗,須昌,壽良,樂昌,陽平,白馬,南燕,廩丘。

43

陳留郡,縣十七:陳留,小黃,成安,寧陵,雍丘,酸棗,東昏,襄邑,外黃,封丘,長羅,尉氏,傿,長垣,平丘,濟陽,浚儀。

44

潁川郡,縣二十:陽翟,昆陽,潁陽,定陵,長社,新汲,襄城,郾,郟,舞陽,潁陰,崇高,許,傿陵,臨潁,父城,成安,周承休,陽城,綸氏。

 

3) 한서지리지는 83개 郡(군) 과 20개 國(국) 으로 되어 있다. ‘군’이나 ‘국’ 모두 현재 코리아 기준 특별시· 광역시· 도 에 대응된다. ‘군’이나 ‘국’아래에 ‘현縣’이 있으며, ‘현縣’은 현재 코리아 기준 ‘시’나 ‘군’에 대응된다.

 

한서지리지 첫 번째 郡(군)인 경조윤 京兆尹 은 郡(군)을 쓰지 않고 尹(윤)을 쓴다. 경조윤 京兆尹 자체는 코리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를 합친 것에 대응되며, 특히 경조윤 京兆尹 의 첫 번째 현縣인 장안현 長安縣 은 서울특별시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京兆尹,故秦 內史,高帝元年屬塞國,二年更 為 渭南郡,九年 罷,復 為 內史。

武帝 建元六年 分為 右內史,太初元年 更為 京兆尹。

元始二年 戶 十九萬 五千七百二,口 六十八萬二千四百六十八。〔一〕

縣 十二:

 

①長安,高帝五年置。惠帝元年初城,六年成。戶八萬八百,口二十四萬六千二百。王莽 曰 常安。〔二〕

 

②新豐,驪山在南,故 驪戎 國。秦曰 驪邑。高祖七年置。〔三〕 신풍현. 여산 이 신풍현 남쪽에 있다. 신풍현은 옛날 여융驪戎국이다. 진나라 때는 여읍이라 했다. 고조 7년에 설치했다.

 

이원환 주 : 驪戎 은 사마천 ‘사기 주나라본기’에 나온다. 驪는 高句麗(고구려)를 高句 驪(고구려)라고도 쓴다. 驪戎 은 고구려의 선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③船司空,莽曰 船利。〔四〕

 

④藍田,山出美玉,有 虎候山祠,秦孝公置也。

 

⑤華陰,故陰晉,秦惠文王五年更名寧秦,高帝八年更名華陰。太華山在南,有祠,豫州山。集靈宮,武帝起。莽曰華壇也。

 

⑥鄭,周宣王 弟 鄭桓公 邑。有 鐵官。〔五〕

 

⑦湖,有 周天子祠 二所。故曰 [胡],武帝 建元年更名 湖。

 

⑧下邽(규),〔六〕

 

⑨南陵,文帝 七年 置。沂水 出 藍田谷,北 至 霸陵 入 霸水。霸水 亦出 藍田谷,北入渭。(師古)曰 茲水,秦穆公 更名 以章 霸功,視 子孫。〔七〕

 

문제 7년에 설치했다. 기수(沂水)가 남전곡(藍田谷)에서 나와 북으로 패릉에 이르러 패수(霸水)로 들어간다. 패수도 남전곡에서 나와 북으로 위수로 들어간다. 사고가 말하기를 茲水이다. 진목공이 이름을 章으로 바꾸었다. ‘패’가 공이 있어 자손을 보았다?

 

이원환 주 : 霸水 는 코리아 읽기로 ‘패수’ 다. 국경에 관련되는 浿水(패수) 나 沛水(패수) 와 발음이 같다.

 

⑩奉明,宣帝置也。

 

⑪霸陵,故 芷陽,文帝更名。莽曰 水章 也。

 

⑫杜陵。故 杜伯國,宣帝更名。有周 右將軍 杜主祠 四所。莽曰 饒安也。끝.

 

저작권자 © 미디어피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