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고정숙 한자교실] 어부지리(漁父之利)

고정숙 전문 기자
  • 입력 2021.07.27 21: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정숙 한자교실] 어부지리(漁父之利)

                                                                                               

최근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자들 중 이재명, 이낙연의 공방전이 선을 넘은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그들을 지켜보면 어부지리(漁父之利)라는 고사(故事)를 떠올리게 한다.

 

漁父之利 유래

해변에서 입을 열고 있는 조개를 본 도요새가 조갯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개 입속으로 넣자 조개가 입을 다물어 버렸다. 때마침 그곳을 지나가던 어부가 둘이 그렇게 싸우는 모습을 보고 둘 다 잡아갔다.

                                                                                                     

오늘 한자교실에서는 어부지리(漁父之利)를 파자로 알아보겠다.

                                                                                                

            

자는 물고기 어()와 물 수()의 조합이다.

                               

       

자는 물고기를 그대로 그린 상형문자이다.

                                                                                              

자는 물을 나타내는 삼수변()과 소리음을 나타내는 물고기가 합하여 물속의 물고기를 잡는다는 뜻이다.

                               

 

여기서 ()은 상투 모양. ()는 사람, 어른, 훌륭한 사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는 상투를 튼 어엿한 장부(丈夫). 장부란 지금의 성인에 해당하는 말이다. 옛날엔 결혼을 하면 상투를 틀고 ()을 썼으므로 남편을 일컫는 지아비라는 뜻으로 쓰인다.

                                                                                         

 

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으로 가다또는 ‘~’, ‘~와 같은 뜻이다.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자는 벼 화()와 칼 도()의 조합이다. ‘자가 글자 오른쪽에 자리할 때는 칼날을 세운 모양으로 변형되어 쓰이며 동자(同字).

                                                                                     

 

자는 칼[]으로 벼를 베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벼를 베어 추수하는 것은 농부들에게 수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이롭다’, ‘유익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대선 후보를 가리는 경선에서 두 사람은 이미 도를 넘은 감정싸움으로 치닫고 있다. 정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지지율이 높은 후보를 당내에서도 밀어주는 방식으로 협업을 해야 하는 것인데, 협업은커녕 사소한 말 꼬리를 잡아 같은 당 후보를 비방함으로써 당의 명예까지 실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초등학교 전교 회장을 뽑는 경선에서도 이런 추태는 보이지 않는다. 지금 민주당의 경선 모습은 어른으로서,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겠다고 나선 대선 후보들의 인격이라고는 보이지 않을 만큼 최악의 수준이다. 이런 방식을 계속 이어간다면 정권을 지키기는커녕 정권을 빼앗기기 위한 투쟁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피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